"미래를 밝히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From solar and wind to floating power plants, we design eco-friendly energy solutions.



The Process
신재생에너지사업의 첫걸음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사업대상지 기초 검토
사업 추진 초기 단계에서 대상지의 위성사진과 지적도를 기반으로 현황을 종합 검토하며, 용도지역·용도지구·도시계획시설 여부를 확인하고 농지법, 산지관리법, 환경관련법 등 법적 제한사항을 조사한다. 이 과정을 통해 사업 추진의 기본 가능성을 판단하고, 입지 여건·규제 사항·민원 발생 가능성 등 잠재적 리스크를 사전에 도출하여 이후 설계 및 인허가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업무용역계약
발주자와 과업 범위를 명확히 정리하여 계약을 체결하며, 현황측량·인허가 설계도서 작성·관련 협의 대응·심의자료 작성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일정과 책임을 합의한다. 또한 계약 시 보완요구에 대한 대응 범위, 조건부 심의 시 재심의 대응 포함 여부 등을 사전에 규정하여 업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줄이고, 인허가 진행의 효율성을 확보한다.
현황측량 및 현장조사
사업 대상지의 경계와 지형을 정밀 측량하여 정확한 위치와 면적을 확보하고, 진입도로, 배수체계, 경사도, 주변 건축물, 환경·경관적 민감 요소 등을 현장에서 직접 조사한다. 이 단계에서는 현장사진, 드론 정사영상 등 시각적 자료를 수집하여 이후 설계도면과 심의자료 작성에 활용하며, 향후 보완 요구에 대비할 수 있도록 사면, 배수, 인접 토지와의 경계 문제 등 잠재적 쟁점을 사전 점검한다.
공사계획 설계 및 세부법령 검토
측량 및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토공·배수·경관계획 등 기본적인 공사계획을 수립하고, 국토계획법, 농지법, 산지관리법, 환경영향평가법, 지자체 도시계획 조례 등 관련 법령을 면밀히 검토한다. 이를 통해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조건부 허가에 대비한 대체·보완 방안을 함께 마련하여 개발행위허가 접수 단계에서 설계와 법률적 요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개발행위허가 접수
개발행위허가 신청서, 설계도서, 현황조사 결과, 관계법령 검토자료 등을 종합해 관할 지자체에 정식으로 접수한다. 제출 도서에는 배치도, 종·횡단도, 공작물 개요, 배수 및 경관계획 등이 포함되며, 필요 시 소규모환경영향평가나 재해영향평가 과업지시서 초안도 첨부한다. 접수 단계에서는 도면의 좌표체계, 법적 요건 충족 여부, 평가 대상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여 이후 심의 및 협의 과정에서 보완을 최소화한다.
관련기관 및 관계부서 협의
개발행위허가 신청 이후 도시·건축·환경·산림·도로 등 지자체 내부 관계부서와의 협의를 진행하고, 필요 시 환경청, 산림청, 농어촌공사, 문화재청 등 외부기관과의 법정 협의도 병행한다. 이 과정에서 부서별 보완 요청사항이 제시되면 설계도서와 설명자료를 수정·보완하며, 협의 결과는 공식 문서로 축적되어 최종 허가조건에 반영된다.
도시계획(분과) 위원회 심의
개발행위허가 대상 면적과 입지 조건에 따라 도시계획위원회, 경관위원회 등에서 심의를 받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차례 이상의 위원회 심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규모 사업은 지자체 심의 후 시·도 위원회 심의를 추가로 거치는 경우도 있다. 이 단계에서는 사업개요, 입지타당성, 환경·경관·재해 영향 대책을 종합한 발표자료를 준비하고, 심의위원들의 질의응답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완대안과 정량적 근거자료를 제시한다.
심의결과에 따른 조치계획 협의
위원회 심의 결과에서 제시된 조건과 보완사항을 반영하여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관계부서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 조치방안을 확정한다. 이 과정에서는 배수계획 수정, 사면 안정 검토, 경관 차폐식재 확대, 반사광 저감 대책 등 구체적 조치가 설계도서에 반영되며, 조건부 심의의 경우 재심의 또는 조건 이행 확인 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개발행위허가 완료
모든 협의와 심의 과정을 거쳐 개발행위허가증을 교부받으며, 허가서에 명시된 조건부 이행사항을 정리하여 사업주체에게 보고한다. 이 단계에서 조건부 이행사항은 시공 단계에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므로, 이를 체크리스트 형태로 전달하여 후속사업자가 조건 이행을 철저히 준수할 수 있도록 한다.
Renewable Energy Divisions
지상 태양광발전사업
육상태양광발전은 토지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진입도로·배수계획 등 토지 이용계획이 허가 절차의 핵심이 된다.
- 토지 용도지역·지구 및 농지·산지 전용 허가 여부
- 절·성토, 옹벽, 배수계획 등 토목·환경 안정성 검토
- 주변 민원(조망·반사광·경관) 저감 대책
수상 태양광발전사업
수상태양광발전은 댐·저수지·호수 등 수면 위에 부유체 구조물을 설치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육상 대비 부지 활용도가 높고 냉각효과로 효율이 높지만 수질·안전 관리가 개발행위허가 과정에서 중점 검토된다.
- 수면 점용·사용허가 및 환경·수질 영향 검토
- 부유체 및 계류장치의 구조 안전성 확인
- 수면경관·어업·주민 이용권 등 이해관계자 협의
지상 풍력발전사
풍력발전은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설치가 필요하고 소음·경관·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허가 시 다방면의 종합적 검토가 요구된다.
- 입지 적합성(풍황 조건, 산지·농지·임야 등 토지 특성)
- 소음·저주파·조망 등 주민 수용성 및 민원 대책
- 산지 훼손·생태축 단절·조류 충돌 등 환경 영향 검토
“A Sustainable Future Powered by Renewable Energy”
Th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ermit consulting service provides comprehensive support for the approval processes required to install eco-friendly energy facilities such as solar, wind, and floating power plants. We conduct site investigations, review land-use plans, and analyze relevant regulations on environment, landscape, and transportation to propose the most optimized development strategies. Our services cover the preparation of design documents, consultations with relevant authorities, permit applications, and follow-up response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Through this, we enable the lawful and efficient advancement of projects while fostering harmony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energy infrastructure.